본문 바로가기

전주시 신축 아파트 1억 이하 종잣돈으로 매수한 투자 경험 후기 공유

wealthy-journey 2025. 3. 3.

 

부의 여정을 기록하고 공유하는 남자입니다.

 

오늘은 필자가 투자한 물건 중 하나인 전주의 신축 아파트에 대해서 간단하게 후기를 공유하려 한다. 1) 왜 전주 신축 아파트를 투자했는지, 2) 결과는 현재 어떠한지, 3) 향후 전주 부동산 전망은 어떻게 보는지 정도로 간단하게 작성하겠다.

 

 

1. 왜 전주의 신축 아파트를 투자했는가?

필자는 사실 서울을 비롯해서 광역시, 나아가 중소도시 투자까지도 염두에 두고 전국 단위로 임장을 많이 다니고 있었다. 투자기회는 돈만 있으면 언제 어디에나 기회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결론부터 전주를 투자한 이유는 전주에 신축 공급이 26년 11월 감나무골(서신더샵비발)을 제외하고는 전무한 상황이고, 내가 생각한 투자금 범위에 들어왔기 때문이다.

 

 

 

전주시 (덕진구/완산구) 공급

 

 

필자는 24년 초에 투자를 감행했는데 위 이미지를 보면 알겠지만 24년과 25년에는 전주에 신축 입주가 아예 없다. 23년도에 공급이 어느 정도 소화되면서 시장을 계속 지켜보고 있던 필자는 전주에 전세가가 급등하고 있는 부분을 확인했다. 

 

전주에는 '에효혁만'이라고 사람들이 선호하는 택지가 조성되어 있는데 30평대 기준으로 전세가가 4억 이상을 육박할 정도로 가격이 많이 올랐고 그만큼 매매가와 갭이 적어지게 됐다.

(참고: 에 - 에코시티 / 효 - 효천지구 / 혁 - 혁신도시 / 만 - 만성지구)

 

덕진구 전세 매물 증감 추이

 

 

전세 매물이 적어지면 어떻게 될까? 사람들은 거주를 하기 위해서는 아파트를 매수하거나, 전세로 살거나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근데 만약 전세 매물이 점점 적어지게 되면 전세로 들어가기 위한 사람들의 다툼, 경쟁이 시작되어 가격이 올라가게 된다.

 

결과적으로 사람들은 "이 돈 주고 전세 들어갈 바에는 차라리 매수를 하겠어"라는 식으로 사고를 하게 된다. 필자는 전세가가 매수가를 밀어올리기 전 (사람들이 매수를 선택하기 전) 그 틈을 노려서 적은 투자금으로 투자를 진행했다고 생각하면 되겠다.

 

물론 필자는 중소도시의 경우에는 보다 보수적으로 투자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선호할 만한 환경(에효혁만)이면서 동시에 신축 단지를 투자하였다. (참고로 지방은 교통보다는 쾌적한 환경, 택지가 조성된 곳에 투자해야 잃지 않는다.)

 

투자한 신축 단지 내부 모습

 

 

2. 투자 결과는 어떠한가?

 

글을 썼다는 사실은 당연히 결과가 나쁘지 않기 때문이라고 짐작할 수 있겠다. 

 

 

 

 

개인정보상 실제 투자한 단지는 공유하기는 어렵지만 위 이미지는 전주 선호 단지들이 1년 동안 가격이 얼마나 올랐는지 보여주기 위해서 가져왔다. 

 

위 단지는 혁신6차호반베르디움 단지로 2년 동안 가격이 벌써 9천 만이나 올랐다. 과거 가장 비싼 가격이 5.7억 정도인데 거의 다 회복을 했다.

 

하나의 예시지만, 위 단지를 포함해서 전주에서 선호되는 단지는 거의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현재 모든 지방이 가격을 회복하고 있지 못하는 상황에서 나쁘지 않은 결과라고 생각한다. 

 

 

 

 

3. 향후 전주 부동산 전망은?

 

필자는 전주는 그래도 향후 적어도 27년까지는 가격을 어느 정도는 방어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유는 당연히 전주에 공급이 전무할 뿐만 아니라 (구축 또한 전세가 없다) 전주는 주변 도시의 인구를 어느 정도 흡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에코시티 전세 매물 개수 (4개..)

 

 

그렇다고 현재 전주 투자를 추천하고 있지는 않다. 왜냐하면 이미 가격이 많이 올랐기 때문이다. (투자자에게 중요한 것은 1순위 가격이다.)

 

가치는 있기는 하나 현재 가격이 비싼 구간이라고 생각한다. (어깨 이상 구간)

 

간단하게만 비교를 해봐도 현재 주요 광역시에는 5억 이하의 신축이 즐비하기 때문에 (현재는 광역시가 싼 구간)

 

지금은 가격이 오르지 않은 수도권, 광역시를 투자하는 것이 더 현명하다고 판단된다.

 

투자자라면 꼭 시야를 넓혀서 자신이 거주한 지역만 보는 것이 아니라, 가치 대비해서 가격이 싼 자산이 어디 있는지 꾸준히 탐색하려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댓글